안녕하세요ㅎㅎ
오늘은 온라인마케팅과 GA 분석할 때 자주 언급하는 용어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실무자라면 이 글이 너무나 베이직해서 패스하실 거 같지만..
만약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이 취준생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해요!
우선, 마케팅을 집행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바로 ATL과 BTL 인데요,
ATL이란 Above The Line의 줄임말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TV, 신문, 잡지, 라디오 등 4대 매체를 활용한 마케팅이에요.
반대?로 BTL은 Below The Line의 줄임말로
위에서 언급한 4대 매체를 제외한 기타 매체를 활용한 마케팅이에요.
제가 취준하던 때만 해도 ATL 위주로 공부했던 것 같은데....
점점 많은 기업이 디지털/온라인 마케팅에 예산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답니다.
위 자료에서 보듯이 이미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는
어느새 스마트폰이 되어버렸고… 이 추세는 점차 가속화 될 것 같아요.
게다가 ATL 대비 BTL, 특히 온라인 마케팅의 장점은
로그분석을 통한 성과 측정, 원하는 타겟을 세분화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일반적으로 온라인마케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쿠키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요,
쿠키는 유저가 웹사이트를 탐색할 때 데스크탑이나 휴대폰, 혹은 기타 장비에 쌓이는 작은 텍스트 파일이에요~
쿠키 속에는 브라우저 기본 정보를 비롯한 사용자 기기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GA에서 쿠키는 방문횟수(VISIT)로 인식하고 있어요.
그러나, 동일한 기기라도 브라우저 정보가 다르면 다른 쿠키로 인식하지요.
쿠키는 임의로 삭제하지 않는 한 2년동안 지속된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GA 및 온라인광고 용어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
.
.
# GA 주요지표
위 이미지를 한번 볼까요~?
GA > 잠재고객 > 개요 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데요,
중요한 지표에 대해 설명 드려볼게요!
● 히트 (Hit) : 사이트에 방문한 유저의 모든 상호작용 (페이지뷰, 이벤트참여, 장바구니 담기, 구매 등을 말해요)
● 사용자 (Users) : 쉽게 말해서 방문 중복횟수를 제거한 순방문자, 줄여서 UV(Unique Visitors)라고도 해요.
방문횟수를 쿠키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고유 쿠키값을 카운팅하는 거에요.
중복을 제거한 값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A가 크롬으로 10번을 방문해도 1번으로 카운팅되는 거죠.
다만 여러 브라우저, 디바이스를 쓸 경우 한 명이 여러 방문 ID값을 가지게 돼요.
그래서 A가 크롬, 익스플로러, 사파라에서 모두 접속을 하면 유저수는 3번으로 카운팅 됩니다.
● 세션 (Session) : 방문횟수인데요, 중복이 아닌 모든 방문횟수의 총합이에요. (사용자와 다른 개념)
쿠키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방문횟수는 새로 수집됩니다.
(그러나 컴퓨터 혹은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시 켤 경우에는 세션이 유지된답니다)
※ 세션이 다시 수집되는 경우
① 아무 활동없이 30분이 지났을 때
② 자정을 넘겨서 하루가 지났을 때
③ 유입경로가 바뀔 때
Q. 그렇다면 아래 케이스는 총 세션 몇 번으로 수집될까요?
1) A 유저가 야근하다가 현타와서 오후 11시쯤 패션몰을 방문했어요. (첫 방문)
2) 알트탭 누르며 10분까지 쇼핑하다가 편의점 가서 컵라면 먹고 50분에 다시 쇼핑을 시작해요 (30분 지남)
3) 결제는 크롬이 아닌 익스플로러로 해야하는 올드한 패션몰이라 다시 익스플로러로 접속합니다. (브라우저 변경)
4) 오후 11시 55분에 결제하려 하는데 보안 프로그램 설치로 브라우저 종료를 하고 다시 익스플로러로 접속하니 이미 12시 5분이 되었어요. (하루 변경)
→ 이 경우 총 세션수는 4번이에요 (첫방문, 30분 미활동 세션종료, 브라우저 변경, 자정 변경)
● 페이지뷰 수 (Page view) : 일정 기간 동안 조회된 페이지수.
● 세션 당 페이지수 : 사용자들이 방문해서 평균적으로 보고 나가는 페이지수.
● 평균 세션 시간 : 사용자들이 방문해서 평균적으로 머물다가 나간 시간.
● 이탈률 :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 Bounce Rate : 사이트를 방문해서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고 이탈한 경우에요.
만약, 해당 페이지에서 GA 목표가 달성되었다면 이탈에 해당하지 않아요.
- Exit Rate : 사이트를 방문해서 마지막 페이지에서 종료를 할 때 방문수 대비 이탈수를 뜻합니다.
# 방문경로 지표
GA 획득 카테고리에서는 유저가 어떤 소스, 매체를 통해 접속했는 지 분석이 가능해요.
별도 셋팅없이 GA에서 확인 가능한 기본 소스, 매체는 아래와 같아요.
● Organic Search : 자연검색
● Direct : 유저가 바로 주소창에 사이트주소를 입력하고 접속 (바로가기 포함)
● Referral :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때,
두 번째 사이트에 대한 유입을 첫 번째 사이트에 대한 추천으로 인지
● CPC : 유료 검색광고를 통해 접속 (자연검색과 다름)
● Display : 배너광고를 통해 접속
● Social : SNS를 통해서 방문한 경우
● affiliate : 제휴 사이트를 통해 방문한 경우
● e-mail : 이메일 캠페인을 통해 접속
# 온라인마케팅 주요 분석지표
아래 이미지는 한 쇼핑몰의 광고(네이버) 캠페인 실적인데요,
각 지표에 대해서 설명 드려 볼게요~!
● 노출수 : 광고가 노출된 횟수
● 클릭수 : 광고(검색 혹은 배너)를 클릭한 횟수
● 클릭율 : 노출대비 클릭한 비중(클릭수/노출수)으로 높을수록 효율이 좋은 거겠죠?
● 클릭비용 : 영어로 CPC(Click Per Cost)라고도 부릅니다.
광고비를 클릭수로 나누어서 계산합니다. 평균클릭비용은 전체 광고비를 전체 클릭수로 나눈거에요.
● 전환수 : 목표로 설정한 전환 (회원가입 or 장바구니 or 구매수)수를 뜻합니다.
● 전환율 : 영어로 CVR(Conversion Rate)라고 하며, 광고를 실제로 클릭한 횟수 중 얼마나 전환이 발생했는지의 비율
(전환수/클릭수)
위 지표들을 통해 ROI (투자수익률)를 계산할 수 있는데요,
광고비(투자) 대비 매출(수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고, 앞으로의 마케팅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답니다.
.
.
.
오늘은 가장 베이직하게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려보았어요.
너무 많아서 한페이지에 담기란...ㅜ
이 외, 용어는 앞으로 천천히 포스팅 하도록 할게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틈틈이 확인해서 답변 드릴게요!!
그럼.. 계속 지켜봐주세요, Coming Soon~
'마케팅 > 구글 애널리틱스 & 태그 매니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3. 주요 보고서 알아보기 (0) | 2019.10.02 |
---|---|
[GA] 1.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부터 검수까지 (1) | 2019.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