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구글 애널리틱스 & 태그 매니저

[GA] 1.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부터 검수까지

by ko_eun 2019. 9. 7.

 

안녕하세요. 저희는 몇 달 전부터 ‘퍼포먼스 마케팅 & 그로스 해킹’을 공부하고 있는 스터디 모임 (가칭 :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 팀블로그입니다. 요즘 많은 마케터 분들이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저희가 공부하는 내용들을 조금씩 업로드할 예정이니, 많은 응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첫 번째 글은, 구글 애널리틱스 (Google Anlaytics) 설치 및 검수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로그 분석은 왜! 해야 하는가?

GA 설치에 앞서 왜 GA(로그 분석)를 사용해야 되는지 알아봅시다.

좌: 구글 부사장 Vint Cerf, 우: 피터 드러커 Peter Drucker / 출처 : 위키백과

“미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종합하고 분할하고 통합하고 가시화하고 해석하는 자의 것이다”
- 구글 부사장 Vint Cerf -

 

특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
피터 드러커 Peter Drucker -

 

로그 데이터 분석은 홈페이지(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남긴 힌트를 찾아가는 과정이며, 어떤 고객이, 어디서 왔는지, 어디를 둘어보았는지 등에 대한 raw data를 통해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사용자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에 익숙합니다. 디지털 마케팅 영역에서도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리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마케팅이나 비즈니스 전략에 활용하는 데이터 분석 능력은 오늘날 마케터가 갖춰야 할 필수 역량이 되었습니다.

 

자~ 그럼! 가장 글로벌하게 사용되고 웹로그 분석툴인 구글 애널리틱스(GA) 설치와 검수하는 방법을 이번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

 

GA(Google Analytics) 설치 방법

G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는 태그를 웹사이트에 삽입해야 합니다.

GA를 설치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Google Analytics 태그 설치

     2. Google Tag Manager 태그 설치 -> Google Analytics 연결

 

GTM(Google Tag Manager : 구글 태그 관리자)는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에서 코드 및 태그라고 통칭되는 관련 코드 조각을 쉽고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태그 관리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구글 이외에 매체에서 광고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Custom 태그 세팅이 필요한데, 이것이 GTM에서 가능합니다. 태그를 잘 모르는 마케터라도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기본적으로 GTM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는 꼭! GTM을 통한 GA 설치를 추천합니다.

 

그렇다면 GTM으로 GA를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봅시다.


 1) GTM 계정 생성
 2) GTM 태그 홈페이지(웹사이트) 삽입
 3) GA 계정 생성
 4) GTM을 통해 GA 태그 설치
 5) GA 설치 검수

 

 

1) GTM 계정 생성

 

GTM 홈페이지(tagmanager.google.com)에 접속하여 계정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계정 이름’은 보통 회사나 서비스명을 많이 사용하고, 컨테이너 이름은 웹 사이트명이나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한 계정 안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웹, 앱 등 기기별로 구분하거나 다수의 웹사이트를 운영할 경우에 해당됩니다.

 

 

서비스 이용약관에 체크하고 ‘예’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을 클릭하고 마무리 합니다
(태그 관리자 설치 코드는 ‘계정>관리자>컨테이너>Google 태그 관리자 설치’에서 다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GTM 태그 홈페이지(웹사이트) 삽입

 

GTM의 기본 스크립트는 head와 body 두 개의 코드가 있는데, 둘 다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ead>는 메인 페이지의 <head> ~ </head> 사이 상단에, <body>는 <body> ~ </body> 상단에 위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붙여 넣으면 됩니다.

 

 

위 소스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대상으로 한 ‘GTM 스크립트’ 삽입 예시입니다.


※ 스크립트 적용 위치

티스토리 : 블로그 관리홈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스크립트 적용
카페24 : 카페24 관리자 페이지 접속 > 상점관리 > 운영관리 > 검색엔진 최적화(SEO) > 고급설정
               > 해당 부분(head, body)에 태그 삽입, Mobile도 동일하게 적용
고도몰 : 기본 설정 > 외부 스크립트 관리 > 외부 스크립트 등록 > 스크립트 삽입 위치를
             ‘상단 공통영억’으로 지정 후 PC와 Mobile 동일하게 스크립트 적용
워드프레스 : 관리자 페이지 > 설정 > head and footer > PC와 Mobile 동일하게 스크립트 적용

 

3) GTM 태그 홈페이지(웹사이트) 삽입

 

GA 홈페이지(analytics.google.com)에 접속하여 '가입(계정 만들기)'을 클릭합니다.

 

 

계정 이름은 GTM와 동일하게 회사 또는 서비스명을 입력합니다.

 

 

측정하려는 대상은 웹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응용프로그램인 앱은 추후 세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앱 및 웹’ 서비스는 현재 베타 버전으로 데이터 수집 기간이 짧고 데이터 샘플링으로 인해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추후 업데이트 개선 후 다른 세션에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웹사이트 이름’은 편의상 ‘웹사이트 URL’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업종 카테고리는 사이트 업종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고 보고서 시간대는 ‘대한민국’으로 변경합니다.

 

 

약관 체크 후 “동의함”을 클릭합니다.

 

 

추적 ID를 따로 기록해 둡니다. (GA 추적 ID는 ‘애널리틱스 관리자 > 속성 > 추적 정보 > 추적 코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4) GTM을 통해 GA 태그 설치

 

이전에 만든 GTM 계정에 접속해 ‘작업공간 > 태그’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태그명’을 입력하고 ‘태그 구성’ 영역을 클릭 후, 태그 유형 선택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클릭합니다.

 

 

추적 유형은 ‘페이지뷰’를 선택한 후, ‘이 태그의 설정 재정의 사용’을 체크합니다. 추적 ID는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추적 정보의 ‘추적 ID’를 입력합니다. 디스플레이 광고 기능 사용은 구글 애드워드(구글 광고 시스템) 사용을 염두하여 참으로 변경합니다.

 

 

마지막으로 트리거 영역을 클릭하고 ‘All Pages’를 선택 후 저장을 클릭합니다.

 

5) GA 설치 검수

 

GTM의 미리보기 기능은 태그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적용 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해 봅니다.

 

 

주황색으로 표시되면서 미리보기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미리보기 활성화 중에 사이트로 이동하면 위와 같이 디버그 콘솔 창이 표시됩니다. ‘tags fired on this page’에 이전에 만든 태그명이 표시된다면 정상적으로 태그와 트리거가 설정된 것입니다. ‘tags not fired on this page’에 표시된다면 태그나 트리거를 잘못 설정한 것으로 클릭하여 문제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태그가 정상적으로 설정이 되었다면, 미리보기 모드 종료 후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버전 이름과 버전 설명을 입력 후 ‘게시’ 버튼을 누르면 작업했던 내용이 적용됩니다. 버전 메뉴에서 과거에 작업했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GA를 설치하는 방법과 검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상당히 긴 내용이지만 익숙해지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GA 설치’ 챕터에서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저희가 알고 있는 선에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 하는 질문

 

Q1. GA 스크립트를 이미 설치했는데, GTM 스크립트를 설치해도 되나요?
=> GTM
스크립트를 설치하고 싶다면 GA 스크립트는 삭제 후 설치해야 합니다. 
중복으로 설치하면 중복 트래킹이 되어 정확한 수치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GTM 미리보기(디버그) 모드에서 검수 후 구글 크롬에서 Tag Assistant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태그가 정상적으로 적용됐는지, 중복으로 적용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